전체 I 편집팀 I 외부기고

현(現)상인정신, 골목대장 브랜드의 자존감
0
상(商)이라는 글자는 장사라는 의미도 있지만, ‘헤아리다, 짐작하여 알다’라는 뜻도 담겨 있다. 즉, 판매자가 구매자의 마음을 잘 헤아려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상인의 자존감이 균형을 이뤄야 가능한 일이다. 최근 상인정신의 중요성이 부각하면서 ‘개성상인’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신뢰와 무차입...
시장의 현재, 골목대장 골목 브랜드
0
골목 브랜드는 전문성과 틈새 제품, 고객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회가 있다. 각각의 개성과 창의적인 시도도 주목할만하다. 골목 브랜드는 생생한 삶의 현장이다. 그곳에선 판매자도 구매자도 이웃이다. 신뢰와 정에 기반한 직접적인 관계는 단골 고객 유치의 지름길이다.

마이클 트레이시, 마켓리더 전략, 경쟁 우위를 위한3요소, 시장 포화 상태, 시장의 현재, 시장시즌2.5/ 골목대장 브랜드
방배동, 일상을 걷다
0
매일 무심코 지나가는 거리의 가게들은 모두 나름의 사연을 안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역사로 남는다. 편집팀은 평소 자주 찾는 동네 가게 세 곳을 선정해 습격했다. 우리의 동네카페, 동네빵집, 동네꽃집의 이야기다.

그래서 우린 방배동을 돌아보기로 했다
0
골목은 언제나 당신 곁에 있었다. 모자 눌러 쓰고 집 앞 슈퍼에 가는 길, 집에서 버스 정류장 혹은 지하철역까지 걸어가는 길, 학교 동기와 매번 걷는 길, 회사 동료와 점심 먹으러걷는 길, 하루에도 몇 번씩 걷는 그 길이야말로 살아있는 당신만의 골목이다. 그래서 우린 골목에서 분투하는 남다른 곳...

골목을 보는 창(窓), 수평과 공존
0
외부 사람들은 서촌의 정서가 왜 그런지 피상적으로만 안다. 지역의 특별한 문화나 정서는 깊이 경험하지 않으면 알 수 없다. 그래서 설재우 작가는 한 번 여행가면 1년 정도 살다시피 하며 그 지역 문화를 이해한다. 여행을 마치고 돌아왔을 때, 새삼 서촌의 문화가 보이기 시작했다. 그에게 ‘골목’을...

Brand Localism, 골목 브랜드, 아날로그, 인간, 골목, 골목문화, 동네, 공간, 이야기시즌2.5/ 골목대장 브랜드
왜 골목 브랜드인가?
0
골목 브랜드들은 한국 경제의 근간에 자리 잡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특히 동네마다 있는 전통시장과 골목 브랜드들에서 벌어들이는 수익은 지역 경제 흐름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경기가 악화되면서 지역 활성화 방안에 열을 올리는 추세다. 골목 브랜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Brand Localism, 소상공인, 은퇴, 작은 가게, 개성, 서비스, 독자성, 품질, 전문성, 지역, 골목 브랜드, 골목대장시즌2.5/ 골목대장 브랜드
10. 자기다움과 우리다움
0

힉스 교수의 신의 입자 이론처럼, 이 시대는 이런 브랜드를 창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이제 이런 브랜드가 나타나기에 충분한 기술, 사회 문화적 요구를 갖췄다. 그래서 나는 여전히 ‘브랜드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하면서 이런 브랜드가 나타나기를 고대하고 있다. 문제는 ‘신의 입자’다. 이런 가치를...

